관료제란 조직의 효율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을 계층화하여 합법적으로 지배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

관료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분업과 전문화를 통해 업무를 배분하고 구성원들은 맡은 업무를 수행한다.

둘째, 계층제에 따라 상하 위계를 나눈다.

셋째, 직무 활동은 기준에 의한 몰인정성을 가진다.

넷째, 모든 업무는 문서에 의해 처리되므로 공과 사가 엄격히 구분된다. (문서주의)

다섯째, 최소 비용 최대 산출의 원리를 따른다. (능률성)

여섯째, 조직 내의 활동은 법규에 의해 규제된다. (법규에 의한 행정)


관료제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지닌다.
첫째, 계층제로 인해 의사소통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둘째, 피로, 권태감, 사기저하 등 심리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셋째, 명령받은 업무만 소극적으로 처리하는 무사안일주의와 목표전도현상이 생길 수 있다.
넷째, 지나친 분업과 전문화는 다른 업무에 무능한 결과를 낳게 된다.
다섯째, 지나친 문서주의는 형식에만 급급한 행정을 만들 수 있다.


학교 현장에서 관료제 이론은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첫째, 연구부, 학생부, 교무부 등 부서별로 업무를 나누어 처리한다.
 둘째, 교장, 교감, 교사으로 계층이 나뉜다.
 셋째, 자체 복무지침으로 행동을 통제한다.
 넷째, 승진은 경력 등 연공 서열주의를 따른다.

Posted by 낭만가자
,

행정관리론은 교육행정 과정을 합리적으로 순서화하는 것을 강조하는 이론이다. 

패욜에 따르면 행정은 기획, 조직, 명령, 조정, 통제의 과정을 거친다.

기획은 목적 달성을 위해 수단과 방법을 준비하는 과정이다.

조직은 필요한 물적 인적 자원을 배분하는 단계이다.

명령은 구성원의 수행을 요구하는 단계이다.

조정은 구성원의 노력을 통합하고 조절하는 단계이다.

통제는 활동 수행상태를 관리 감독하는 단계이다.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행정이론 - 행동과학론  (0) 2018.07.09
교육행정이론 - 인간관계론  (0) 2018.07.09
교육행정이론 - 관료제론  (0) 2018.07.09
교육행정이론 - 과학적 관리론  (0) 2018.07.09
교육행정의 기본원리  (0) 2018.07.09
Posted by 낭만가자
,

과학적 관리론은 행정의 과학화를 통해 최소 투입 최대 산출을 추구하는 행정 이론이다.


과학적 관리론의 일반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업 과정의 시간과 동작을 분석하여 작업을 표준화한다.

둘째, 업무를 분업화한다.

셋째, 과업 수행 정도에 따라 성과급을 지급한다.


이는 교육행정에 다음과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첫째, 가능한 모든 시간과 자원을 최대로 활용한다.

둘째, 교직원수를 최고화하고 작업능률을 최대화한다.

셋째, 교육활동 중 낭비요소를 제거한다.

넷째, 교원들은 학생을 가르치는 활동에 전념하고 행정은 행정가에게 맡긴다.



Posted by 낭만가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