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료제란 조직의 효율적인 목표 달성을 위해 구성원을 계층화하여 합법적으로 지배할 수 있도록 한 제도이다.
관료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분업과 전문화를 통해 업무를 배분하고 구성원들은 맡은 업무를 수행한다.
둘째, 계층제에 따라 상하 위계를 나눈다.
셋째, 직무 활동은 기준에 의한 몰인정성을 가진다.
넷째, 모든 업무는 문서에 의해 처리되므로 공과 사가 엄격히 구분된다. (문서주의)
다섯째, 최소 비용 최대 산출의 원리를 따른다. (능률성)
여섯째, 조직 내의 활동은 법규에 의해 규제된다. (법규에 의한 행정)
학교 현장에서 관료제 이론은 다음과 같이 적용된다.
첫째, 연구부, 학생부, 교무부 등 부서별로 업무를 나누어 처리한다.
둘째, 교장, 교감, 교사으로 계층이 나뉜다.
셋째, 자체 복무지침으로 행동을 통제한다.
넷째, 승진은 경력 등 연공 서열주의를 따른다.
'교육행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육행정이론 - 행동과학론 (0) | 2018.07.09 |
---|---|
교육행정이론 - 인간관계론 (0) | 2018.07.09 |
교육행정이론 - 과정이론 (행정관리론) (0) | 2018.07.09 |
교육행정이론 - 과학적 관리론 (0) | 2018.07.09 |
교육행정의 기본원리 (0) | 2018.07.09 |